이상국가는 과거에 존재했다! 엘리트 군인의 민주공화정
이럴수가!
Oh, my God!
아테네와 같은 시대에 존재했던 스파르타가 내가 생각하는 이상국가와 거의 유사하다!
Sparta, who existed in the same time as Athens, is almost like the ideal country as I think!
아테네의 민주주의만 알고 비교가 되던 스파르타를 자세히 몰랐다는 사실에 눈물이 잠시 났다.
I was tearful for a moment that I knew only the democracy of Athens and did not know Sparta, which was a comparison.
스파르타 인구의 80%를 차지했던 비자유시민 헤일로타이의 존재. 이것은 현재 체제인 중우정치 시대 내가 말하는 미개인의 특성과 비율이 거의 같다!
The existence of the non-free citizens Helot, which accounted for 80% of the Spartan population. This is almost the same as the exsitence of the uncivilized people and ratio I have spoken, in the current system, the mobocracy era!
중우정치를 플라톤은 '폭민정치'라 하고,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빈민정치'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그리고 중요한 국가의 존속 기간.
And the duration of the important, state.
스파르타는 기원전 900s–192 BC 까지 존속하였다.
아테네는 기원전 508 BC–86 BC으로, 스파르타보다 늦게 출현해서 일찍 소멸했다.
Sparta continued to exist for around 900BC–192 BC.
Athens was 508 BC–86 BC, which appeared later than Sparta and extinguished earlier.
스파르타 약 1092년, 아테네 600년이다.
Sparta's duration is about 700 years, and Athens is about 600 years.
스파르타는 존속 기간 동안에 이상적인 엘리트 도시국가였으며, 아테네는 그에 비해 잠시 존재했던 중우정치의 나라였던 것이다. 그런데 왜 현대에 아테네가 더 잘 알려져 있고 이상국가처럼 인식이 되고 있었을까?
Sparta was an ideal elite city state during its existence, and Athens was a small country of mobocracy that existed for a while than it. But why was Athens better known and perceived as an ideal country in modern times?
http://blog.daum.net/jc7202/9539628의 내용에서 힌트를 얻자면, 학문의 발달은 아테네에서 더 잘 이루어져 기록물이 많기 때문인 것 같다. 아테네의 기록물을 본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이다. 하지만 플루타크 영웅전 같은 스파르타의 기록은 유럽과 미국에서 플라톤의 <대화>보다 필독서라고 한다.
To get a hint from the content of http://blog.daum.net/jc7202/9539628,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learning is better done in Athens and there are many records. More people have seen the records of Athens, but Sparta's records, such as <the Plutarch Heroes Chronicles>, are said to be more of a must-reader than Plato's <The Dialogue>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또한 아테네와 스파르타 모두 계급사회이며 노예제도가 있었다고 한다.
The records of Sparta, like the Plutarch Heroes, are more likely to be writte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an Plato’s Dialogue.
스파르타에는 리쿠르고스라는 개혁가가 있었는데, 신화 속 인물인 헤라클레스 혈통으로 알려져 있으며 왕의 아들이자 형제로서 조카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여행을 하는 동안 계급구조를 완성시킨다.
Sparta had a reformer named Ricurgos, known as the mythical character, Hercules descent
As the son and brother of the king, he completes the class structure whiletraveling to protect his nephew's throne.
이같은 개혁으로 스파르타는 엘리트 군인 지배계급 중심의 분산 권력형 민주공화정으로서, 현존 민주주의 체계보다 훨씬 합리적이다. 경제범이 없는 경제개혁을 이루었는데 그 과정에서 부자들의 반발을 사 몽둥이로 한쪽 눈이 멀게 되었다는 사실은 개혁을 추진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사실이다. 미리 알고 대비하면 막을 수 있는 것.
By this reform, Sparta is a distributed power-based democratic republic centered on elite military ruling classes, far more reasonable than the existing democratic system. The fact that the economic reform without the economic criminal was achieved, and in the process, he was blinded by the clubbing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the rich people is important to the reformers. If we know and prepare in advance, we can prevent it.
유약하거나 기형적으로 태어난 아이를 내다버리는 극단적 처사를 했다고 하는데 야만성으로 지적되며 극단적이기는 하지만 이것 역시 나의 유전학의 정책 반영 주의에 부합한다. 단, 나의 이상국가에서는 아이를 내다버리지 않고 재판부 판결과 유전학 박사나 의사의 동의를 이중으로 확인한 후 편안한 잠으로 인도할 것이다.
They had casted aside a baby are fragile or deformed.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extreme and extreme, but it also corresponds to apply the policy of my genetics, even though it is pointed out as barbarism. However, in my ideal country, we will not abandon my child, but in my ideal country, it will be done the judgment of the court and the consent of a doctor of genetics and they lead him(her) to a comfortable sleep.
이밖에도 주택제한법이나 공동식사에 관한 규정도 있는데 직접 읽어보길 바란다.
In addition, there are regulations on housing restrictions and joint meals.
스파르타가 이상국가였다는 사실을 알게된 것은 늦기는 하지만 대단한 수확이다. 이상향에 대해서 생각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확인해보기 바란다. 군사 강국인 현대 미국에 비교할 수 있는 국가였다.
It is late, but it is a great harvest to learn that Sparta was an ideal country. Those who think about ideal country must check it out. It was a country comparable to the modern United States with great military power.
참고로 군인은 아니지만 technocrat, 전문기술자 중심의 국가가 있다고 한다. 그 리스트이다.
For reference, there is a country centered on technocrat, professional engineers, not soldiers.
- Australia.
- Italy.
- Tunisia.
- United States.
- Asia/Communist Eastern nations. People's Republic of China. Soviet Union. Singapore. Lithuania.
- Technocracy - H+Pedia